언텍트 시대에 여러분은 화면녹화 할 경우가 많지 않으신가요? 각자가 다른 분야에 종사하기 때문에 꼭 그렇다 말 할 수 없지만 제 주변분들은 화면 녹화하는 경우가 많아서 소개해 드릴까 하는 프로그램이랍니다.
화면 녹화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한동안 어떤것이 가성비가 좋은지 알아봤답니다. 저도 과제도 제출할것도 있고 사람들 가르칠때또한 이런 녹화프로그램 하나 있으면 손쉽게 구두로 설명하는것보다 화면으로 한번에 과정드을 알려 주면 정말 편하기 때문이죠.
검색 끝에 현제 OBS 프로그램을 찾았습니다. 무료 오픈소스여서 가격부담 하나도 없이 누구나 다운로드 받고 활용할 수 있는 고마운 프로그램입니다.
웹페이지를 보시면 스폰서도 짱장하네요.
화면 녹화 프로그램이라고 치면 어떤것들이 나올까요?? 한번 쳐보시죠. 아마 여기까지 오신분들이라면 이미 여러번 고민하고 오신 분들이라 생각이 드네요.
내려받는 위치랍니다. OBS 공식 홈페이지에요. WINDOW, MAC, 그리고, LINUX 까지 지원가능하네요.
OBS 홈페이지
OBS 특징
워터마크가 안들어가 있습니다.
화질 나쁘지 않습니다. 충분히 유투브 스트리밍도 가능한 질좋은 영상을 뽑아 낼 수 있답니다.
사용법이 단순하고 사용하기 좋답니다.
설치과정 어렵지 않아요. NEXT 다음 버튼 보이시죠? 아래 화면처럼 INSTALL 버튼이 나올대까지 눌러줍니다. 그냥 같은자리만 계속 클릭하다보면 알아서 설치를 해주겠네요. 용량은 270메가 정도로 가벼운 프로그램이에요
아래의 사진은 첫 화면입니다. 항목이 3가지가 있는데 천천히보시면
- 스트리밍용
- 그냥 녹화용
- 스트림이 또는 녹화가 아닌 카메라만 사용
영어버전이라 좀 불편하시지만 한국어도 지원한다는 부분 체크!
물론! 설저어에 가면 한국말 지원하고 있다는 걸 보실 수 있으실거에요.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네요. 설정 - GENERAL 에 보시면 가장 위에 언어 선택 부분이 나온답니다.
화면 띄워보기
그냥 검정색 화면만 나와있어서 좀 답답하실겁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소스목록 빨간 박스 따라서 하단부분에 "+" 버튼을 눌러봅니다. 장면 목록과 소스 목록을 이용한 기능들은 다수 모니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유용하답니다. 각 모니터마다 장면을 설정 해 줄 수 있고 전환해가면서 사용 가능하실거에요
디스플레이 캡처를 눌러봅니다. 그러면 여러분이 원하는 화면의 상태가 나오게 될 거예요. 감탄은 아직이랍니다. 시작도 안 했죠. 아래 사진 보시면 끊임없이 펼쳐진 창들을 보실 수 있으세요. 오른쪽 아래 부분에 방송 시작, 녹화 시작, 가상카메라 시작, 편집방식, 설정, 나가기 등 여러 가지 손쉽기 원하는걸 실행 시킬 수 있는 기능들이 있답니다. 녹화를 원하시면 녹화를 하시면 되고 영상 인플루언서시면 방송으로 선택하시면 된답니다.
녹화전 주의사항
오른쪽 상단에 설정을 눌러 들어가시면 왼쪽 출력을 선택 후 녹화형식 부분이에서 MP4 방식으로 해주셔야 나중에라도 편집하시거나 다른 분들에게 보내주시거나 하실때 막힘 없이 일들이 해결이 될겁니다. MKV보다는 아직은 MP4포맷 형식으로 더 널리 쓰이고 있을 뿐더러 VIDEO DEVELOPER분들이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포맷 형식이기 때문이랍니다.
- 비트트레이: 일반적으로 방송하시는 분들이 사용하시는건 15000 Kbps가 1080p 60fps 정도 입니다. 값을 좀 크게 하면 질적으론 더 좋아질지라도 용량이 커져버린답니다. 추후에 편집이나 다른 작업을 하실 분들에게는 짧은 영상은 뭐 별로 상관은 없겠지만 긴 영상을 녹화하신다하면 버벅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인코더: 아마 X264나 NVENC 둘중에 고민을 하 실 분들이 있을 수 있으실거에요. X264는 CPU를 사용하는 방식이랍니다. NVENC는 GPU를 사용하는 방식이라 말씀 드릴 수 있어요. CPU가 강력하다면 CPU를 사용하시고 GPU가 상대적으로 강하시다면 GPU를 사용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이 있긴 해요.
인코더 X264나 NVENC 장단점
- X264를 사용하는 것은 전반적인 컴퓨터 퍼포먼스가 떨어질것이다. 하지만, NVENC를 사용하는 것보다 밝은 부분이 표현되는 부분에서 좀더 부드려운 그래픽 화면을 연출하게 된답니다.
- NVENC를 사용하는 것은 퍼포먼스는 어느정도 유지하되 그래픽부분의 약한 소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 속도면 이 방식을 사용해야 하겠네요.
'IT Share >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발력 퀴즈,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맞춤, 무료 단체 놀이 게임 웹사이트: 카훗, Kahoot (0) | 2021.09.11 |
---|---|
포토샵보다 배경 쉽게 제거, 누끼 쉽게 따기, 무료 배경없애기 사이트: Remove.bg (0) | 2021.09.09 |
VPN는 Virtual Private Network (VPN), 개인정보 보호, 해외에서도 한국 스트리밍을 보는 깨알 방법: VPN (0) | 2021.08.30 |
선생과 학생들을 위한 암기노트, 전문가들이 쓴 단계별 솔루션: QUIZLET, 퀴즈랫 (0) | 2021.08.20 |
언텍트 시대에 적합한 최적의 노트정리: 슬리드, SLID (0) | 2021.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