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Share/구글시트, google sheet, 엑셀

GOOGLE SHEET, 구글시트, 좌표 함수, 엑셀 함수 : MATCH 함수

by Ujochengwa 2021. 8. 18.
반응형

 

 

범위안에 원하는 위치를 찍어보자
=MATCH(검색할_키, 범위, [검색_유형])

 

작업을 하다가 간혹, 어떤 특정 값을 입력할때 그 값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싶을 때가 있을겁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match 함수 입니다. 예를 들어서 성적에 따라 나눴을때 내가 몇번째에 있을까라는 질문을 할때 또한 사용 될 수 있는 함수이죠.

 

CHECKPOINT: MATCH 함수 사용 시
  • 검색할 키: 함수의 타겟이되는 주제가 되는 셀을 선택해줍니다.
  • 범위: 범위를 정해주는 겁니다. MATCH함수는 주로 네모박스가 아닌 가로, 세로의 열로 범위를 정해줍니다.
  • 검색 유형: 0(원하는 정확한 값을 출력), -1(내림차순, 큰 수에서 작은순으로), 1(오름차순, 작은 수에서 큰 수로) 이렇게 구분을 해서 넣을 수 있는데 많은 경우에 0을 사용하게 될 겁니다.
  • MATCH 함수가로, 세로의 좌표를 찍어 줄 수 있답니다. 

 

위에서 언급드렸던 성적 예시를 들어볼게요

 

이름이 JAN, JUN, RODGER, JACK, HUN, REDBALL 이렇게 6명의 학생들이 있습니다. 학생들이 서로 각자 다른 점수를 받았고 국어 점수에 따라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있는지 찾아보는 과정을 가져보겠습니다.

 

여기에서 MATCH 함수의 범위를 어디로 설정하느냐라는 질문을 가진다면, 우리는 국어의 점수에 따라서 순위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에 국어점수 열을 선택을 하게 될겁니다.

 

함수는 =MATCH(C13,C3:C8,0) 이렇게 작성해 봤습니다.

 

잠깐, 여기서 어떤 점이 부족한가요?

 

절대값을 제가 정해 주지 않았습니다. 범위값을 정해준 C3:C8의 범위를 고정을 해줘야 HUN의 등수를 구할때 드래그할때마다 범위가 따라 내려가지 않을거에요. 꼭 기억하시고 F4를 한번 눌러주면 전체 고정이 되어버린답니다.

 

절대값을 적용하게 된다면 =MATCH(C13,$C$3:$C$8,0) 이런식으로 C3:C8 이었던 부분이 $C$3:$C$8 이렇게 행과 열 모두를 절대값이 적용된 식이 나오게 된답니다.

 

만약, 이 설정을 하지 않고 진행을 하게 된다면

이렇게 모두다 1등이 되었군요. 축하드립니다.

 

함수 식을 눌러서 보면 C3:C8에 고정되어있어야 할 박스 범위가 아래로 내려와있는게 보이시죠? 절대값을 설정해주는것의 중요함이랍니다.

 

함수에 대해 풀어볼게요.

 

  • =MATCH : 좌표를 찍어 봅시다
  • (C13 : 여기에 들어갈 값이
  • ,C3:C8 : 이 범위안에서 
  • ,0) : 정확히 몇번째인가요?

라는 식이 성립되 오타가 없으면 정확하게 점수에따라 등수가 산출 된답니다. 

 

이렇게만 보면 세로로 내려 행의 정보 (열의 정보가 아닙니다.)를 가져오는 기능만 하는 것처럼 보이죠?

이번엔 가로로 나열된 정보를 가지고 등수를 위치를 찍어봤습니다.

 

기억해야 할 사항은 가로열을 범위로 지정하면 열의 정보를 기입하게 된답니다. 세로열을 범위로 지정하게 될 경우에는 행의 정보를 가져온다는거 기억하시면 INDEX함수와 같이 병행하여 사용할 시 큰 도움이 될수있다는점 체크!

 

MATCH 함수는 INDEX 함수랑 같이 사용하게 될 경우 좀더 강력한 함수가 될 수 있답니다. 물론 식도 이것보다 더더욱 복잡해 질거에요. 복잡해 지는만큼 더 유용한 기능을 하게 되니 일단 그 첫 단추가 되는 MATCH함수를 알아둘 가치가 크다는 거 말씀 드립니다. 

 

 

반응형

댓글